전체 글112 n비트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 1. 메모리 한 칸의 크기는 1바이트다.2. 메모리 한 칸은 주소 1개를 가진다.3. n비트 시스템에서 주소 2ⁿ개를 표현할 수 있다.=> 4. n비트 시스템에서 메모리 2ⁿ칸을 가질 수 있다. ( ∵ 2번, 3번)=> 5. n비트 시스템에서 메모리 2ⁿ바이트를 가질 수 있다. ( ∵ 1번, 4번) ex) 32비트 시스템에서 메모리 2³²바이트2³²바이트 = (2¹⁰) x (2¹⁰) x (2¹⁰) x 4바이트 = (2¹⁰) x (2¹⁰) x 4KB = (2¹⁰) x 4MB = 4GB 2025. 6. 28. 가상함수테이블(virtual table) 2025. 6. 8. 깊은 복사, 얕은 복사의 의미 (라이프사이클, 객체 소유권 측면에서) 아래 코드 예시를 보자. 얕은복사bool PolyLine::AddPoint(const Point* point){ mPoints[mPointCount] = point; // 얕은복사 ++mPointCount;} 깊은복사bool PolyLine::AddPoint(const Point* point){ mPoints[mPointCount] = new Point(*point); // 깊은복사 ++mPointCount;} Point* p = new Point(1, 2);polyLine.Addpoint(p); Addpoint(p)가 내부에서 p를 깊은 복사를 한다면 : PolyLine 내부에 새로운 복사본을 저장.AddPoint(p)가 내부에서 p를 얕은 복사를 한다면 : PolyLine 내부.. 2025. 6. 6. Webpack을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Webpack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에 있어서 널리 퍼진 방식은 하나의 html 파일에 많은 JS파일들을 불러오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크기가 커지면서 모듈화의 중요성이 커졌기 떄문이죠. 그래서 import와 파일의 갯수는 많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생기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파일들에 대한 HTTP 요청이 많다는 것입니다. 물론 각 파일의 용량이 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HTTP 요청은 어느정도의 기본 시간이 걸립니다. 파일 다운로드에 걸리는 기본 시간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위 사진은 Webpack을 적용하지 않은 현재 저의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탭입니다. 각 파일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여러 개의 파일로 나뉘어 있.. 2024. 3. 20. 화면을 이동할 때 Link, useNavigate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오늘 저는 프로젝트를 하다가 Link와 useNavigate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 정리해 본 내용을 공유합니다. React에서는 페이지를 이동하기 위해 Link, useNavigate 둘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nk 태그는 Route에서 path를 지정한 후 to 속성에 해당 path를 설정하기만 해주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그냥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죠. 회원가입 그리고 useNavigate는 마찬가지로 이 훅을 사용하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켜줍니다. 그렇다면 useNavigate는 Link와 무엇이 다를까요? Link는 클릭만 하면 이동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useNavigate는 페이지 이동 시 추가 로직이 .. 2024. 3. 19. CSR은 트럭, SSR은 소형차 내가 이해한 CSR(Client-Side-Rendering), SSR(Server-Side-Redering)를 한마디로 요약해보자면 CSR은 트럭, SSR은 소형차 이다. CSR과 SSR은 상황에 따라 무엇을 사용할지 결정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이사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는 트럭이 알맞을 것이다. 트럭은 한번에 모든 짐을 가져오기 용이하지만 처음 가져올 때 시간이 걸릴것이다. 하지만 한 번 가져오면 물건을 찾을 때 그 안에서 찾으면 되기 때문에 가져오기만 하면 그 안에서 물건을 빨리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엔 만약 우리가 마트에 간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는 소형차가 알맞을 것이다. 소형차는 내가 필요한 물품만 그때그때 가져오기 용이하지만 갑자기 더 필요한 물품이 생기는 상황이 자주 나오.. 2024. 3. 16. 이전 1 2 3 4 ··· 19 다음